메뉴
메뉴
공중보건학은 질병의 예방과 관리, 자연환경의 보전과 생활환경 개선, 보건복지행정과 관리활동 등등
인류의 건강 유지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보건 및 의료기술 분야 지망생들에게는 누구나 이해해야 할 보건인들의 기본 학문이자 실용학문이지만,
그 특성상 새로운 정보와 최근의 자료로 업데이트해 가는 일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본서를 계속 개정하고 보완해가고 있으며, 2023년에 제27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인류가 질병을 피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는 노력은 인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개인이 아닌 인간집단의 건강 확보를 위한 공중보건학적 노력은 16세기경부터라고 할 수 있으며,
치료 중심의 임상의료(medical care)에서 예방활동을 중시하는 보건의료(health care) 중심으로 전환한 것은 20세기 중반부터이다.
특히 개인 중심의 치료활동보다는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활동을 중시하고,
예방활동보다는 건강증진활동과 재활활동을 중시하는 공중보건학적 접근방법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동안 인류의 건강을 추구해온 생명과학이나 과학기술은 인간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첨단화되어 가고 있지만
이러한 급진적 발전의 이면에는 인류의 건강과 안녕에 부정적 결과도 초래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첫째, 과학기술의 향상에 힘입은 산업발전은 문명의 이기를 누릴 수 있게 했지만, 재생불능의 공업중독과 직업병을 증가시키고 있고,
산업화는 삶을 윤택하게 하고 있지만, 공해물질 배출로 오존층 파괴, 산성비, 지구온난화, 해양 및 토양오염 등 인류가 살아갈 지구촌을 황폐화하고 있으며,
많은 국가는 탄소 중립정책과 순환경제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보건의료 발전은 기존의 많은 감염병을 상당수 극복할 수 있게 했지만 신종 감염병은 계속 발생되고 있고,
교통수단의 발전과 사회경제적 국경이 허물어지면서 경제성장이나 문화교류는 용이하게 되었지만,
AIDS와 같은 사회적 질병과 SARS, MERS, COVID -19(코로나-19) 등의 새로운 감염병의 범세계적 유행(pandemic)은
수많은 사망자 발생과 경제 사회적 질서를 크게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셋째, 경제생활 향상은 삶의 질을 높였지만,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암 등의 성인병을 증가시키고 있어
이를 극복하는 노력과 함께, 경제활동의 주역인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워라밸(work-life balance) 개념을 적용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다변화, 다양화되는 복잡한 사회환경 속에서 적자생존적 치열한 경쟁 사회로의 변화는
우울증 환자, 분노조절장애자, 사이코패스(psychopath), 번아웃증후군(burnout syndrome) 등의 새로운 정신건강 장애 현상을 등장시키고 있다.
넷째,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급격히 진전되면서 연금제도와 건강보험제도 등 사회안전망의 재정적 안정성에 위협이 되고 있고,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있지만, 건강수명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으며,
단순히 건강한 삶을 산다는 삶의 가치보다는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중시하는 사회로 이행되는 등
국민의 건강 불평등(health inequality)을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요인들이 생성되고 있어 이를 논의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순기능과 역기능의 발생이라는 양면성의 사회현상들을 염두에 두고,
이를 극복해가기 위한 정부의 보건의료정책, 환경정책, 관련 법령의 개폐와 신설 내용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고,
보건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WHO나 UNEP 등의 국제기구의 새로운 전략과 추진사항 등을 소개하고자 했으며,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여러 요인들과 그 실상을 소개하고자 했다.
또한 자기 자신의 건강은 지구촌에 살고 있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할 때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하고,
지구촌의 당면한 보건문제는 물론 미래의 보건문제를 담당해갈 수 있는 보건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재로서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의 공직자와 환경 및 보건의료 기술 등 보건 분야의 학문을 전공하는 모든 보건학도는
자신이 추구하는 학문이나 보건인(health worker)으로서 성공적인 역할을 위해서 공중보건학의 논리와 역할을 이해하는 일이 절대적 기초 지식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0개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