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보호법의 이해 이미지

디자인보호법의 이해

정연덕 건국대학교 출판부
0(0)
  • 정가
    10,000원
  • 판매가
    10% 9,000원
  • me포인트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최대 550P 적립

    • 구매 적립 5%
      450P
    • 최대 리뷰 적립
      100P
구매 전 반드시 유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iOS / Android 모바일 및 태블릿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디자인은 제품의 물품의 장식성을 넘어,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고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기업의 경쟁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이끄는 디자인의 힘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디자인을 창작하고 그것을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도, 즉 디자인보호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디자이너는 물론 창업자, 기획자, 개발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자인보호법은 여전히 법학 전공자나 특허전문가에게만 익숙한 영역으로 인식되며, 일반인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높게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낯선 용어와 복잡한 절차, 형식 위주의 설명은 실무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은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사업화하려는 이들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용적인 입문서다. 법조문이나 판례 중심의 해석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디자인을 개발하고 등록하는 과정, 등록 요건, 심사 실무, 그리고 전략적 권리 확보 방법 등 실질적인 지식 전달을 목표로 한다. 특히 스타트업, 중소기업, 창작자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디자인보호법이 어떤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디자인권은 감각의 결과물인 디자인을 권리로 전환시키는 수단이며, 이를 통해 창작자나 기업은 시장에서의 정당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법을 실생활에 연결하는 작업으로 독자에게 디자인보호법이라는 제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낯설지 않게 설명하고, 창작물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첫걸음을 함께 걷고자 한다.

"머리말 4

제1장 디자인보호법의 기초

Ⅰ. 디자인보호법 제도의 개요 9
1. 디자인보호법의 연혁 9
2. 디자인보호법의 목적 9

Ⅱ. 디자인 보호제도 10
1. 개관 10
2. 우리나라와 외국의 디자인 보호 10
3. 주요 국가의 디자인 심사방식 12
4. 주요 국가의 디자인 보호기간 13
5. 신규성 상실의 예외기간 13
6. 디자인의 창작성 판단 기준 13
7. 국제 디자인출원 제도 (헤이그 협정) 14

제2장 디자인보호요건

Ⅰ. 디자인의 정의 및 범위 15
1. 디자인의 정의 15
2. 디자인 성립성과 물품성 16
3.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자 21
4. 보호범위의 확장 가능성과 한계 23
5. 국제적 동향과 우리 제도의 정합성 25

Ⅱ. 디자인등록의 요건 27
1. 개요 27
2. 공업상 이용 가능성 27
3. 신규성 28
4. 창작비용이성 29
5. 창작비용이성의 적용요건 30

Ⅲ. 디자인등록 거절 사유 33
1. 등록을 받을 수 없는 디자인 33
2. 유사디자인, 공지디자인, 모방디자인의 등록 가능 여부 34

Ⅳ. 디자인의 동일·유사 판단 기준 37
1. 디자인의 동일·유사 판단 37
2. 물품의 동일성 및 유사성 판단 기준 37
3. 디자인 유사 판단 기준 38

Ⅴ. 특유의 제도 41
1. 관련디자인 제도 41
2. 비밀디자인제도 43

제3장 디자인 등록 절차

Ⅰ. 출원 절차 46
1. 디자인 출원 절차 및 선출원주의의 적용 46
2. 확대된 선출원주의의 적용 47
3. 신규성 상실의 예외 47
4. 국제조약에 따른 우선권 주장 48
5. 디자인 출원의 절차적 구성 49

Ⅱ. 우선심사제도 50
1. 우선심사제도의 개요 50
2. 우선심사의 적용 대상과 요건 50
3. 심사절차 및 진행 방식 51
4. 우선심사제도의 장점과 실무적 활용 51

Ⅲ. 디자인 일부심사제도 53
1. 일부심사제도 53
2. 일부심사의 장점과 유의사항 54

Ⅳ. 디자인물품 분류제도 56
1. 로카르노 국제분류의 개요 56
2. 디자인 출원 시 국제분류의 적용 56
3. 일부심사 출원과 심사출원의 구분 57
4. 한국분류(LUC)의 도입과 실무상 활용 57
5. 디자인 분류제도의 실무적 중요성과 사례 58

제4장 디자인권

Ⅰ. 디자인권 59
1. 디자인권 59
2. 전용실시권 60
3. 통상실시권 61
4. 디자인권의 활용과 전략적 가치 62

Ⅱ. 디자인 침해에 대한 민사적·형사적 대응 63
1. 디자인권 침해에 대한 민사적 대응 63
2. 디자인권 침해에 대한 형사적 대응 63
3. 디자인 침해의 유형과 입증 방법 64
4. 가처분 신청과 본안소송 절차 64
5. 손해배상청구의 구체적 기준과 활용 65

제5장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권

1. UI/UX 디자인 보호와 권리의 인정 66
2. 아이콘 디자인의 보호 가능성과 한계 67
3. 메타버스 디자인의 권리화 67
4. 3D 프린팅 기술과 디자인권의 충돌 68
5. 동적디자인 69

제6장 기업의 디자인 전략과 실무

Ⅰ. 디자인 전략과 기업 실무 적용 73
1. 서론 73
2. 디자인권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중요성 73
3. 디자인권 포트폴리오의 구성 방법 74
4. 제품 출시 전 전략 75

Ⅱ. 스타트 업 및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 전략 76
1. 디자인 출원 시기 관리 76
2. 디자인 출원 실무 76
3. 디자인 전략 수립 시 유의사항 77
4. 디자인과 기업경영의 결합 전략 77"
저자(글) : 정연덕
"서울과학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
미국 NYU(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 LLM 수학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부원장, 교무부원장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기술과 법 센터장, 비교법센터장
건국대학교 연구진실성위원회, 기획위원회, 산학기술정책위원회 위원
대법원 재판연구관
동부지방검찰청 조정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지식재산권정책자문단 위원
보건복지부 제대혈위원회 위원
지식경제부 산업기술보호실무위원회 위원
산업기술진흥원 기술기부채납 관리위원회 위원
정보통신연구진흥원 IT 우수기술지원 과제관리전문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품질인증자문단 위원
한국발명진흥회 Patent troll 전략적 대응체계구축 운영위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위원회 IPR 전문위원회 의장
한국조혈모세포은행 기증자보호위원회 위원
한국저작권법학회 총무이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권남용방지지침 전문가포럼 위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강제실시제도 전문가포럼 위원
미술 개인전시회 9회
사법시험, 변호사, 변리사 시험, LEET 시험 위원
정교수 지식채널 유튜브 운영"
0

0개 리뷰

도서 구매 후 리뷰 작성이 가능합니다.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상품 정보

저자
정연덕
출간일
2025-10-15
ISBN
9788971078068
형식/용량
PDF / 3.11MB
카테고리 분류
대학교재 > 법학계열
대학교재 > 건국대

결제정보

  • 총 상품 금액
  • 총 할인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