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철도와 식민지 도시의 이미지 정치학 이미지

근대 철도와 식민지 도시의 이미지 정치학

김경리 건국대학교 출판부
0(0)
  • 정가
    10,000원
  • 판매가
    10% 9,000원
  • me포인트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최대 550P 적립

    • 구매 적립 5%
      450P
    • 최대 리뷰 적립
      100P
구매 전 반드시 유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iOS / Android 모바일 및 태블릿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책은 연구자가 학위 취득 이후 발표한 연구 논문 중 철도가 만든 도시와 관련된 6편을 수정・보완하여 엮은 것입니다. 근대 철도가 만들어낸 인적・물적・정보 이동의 표상과 도시 공간의 재편, 그 속에 교차하는 식민지 권력이 시각 이미지로 어떻게 구현되고 표현되는지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철도가 일본에 도입된 이후 도쿄와 요코하마가 탈경계화되는 과정을 그린 ‘철도 니시키에(鐵道錦絵)’, 식민지 조선의 철도역을 중심으로 특정 이미지를 형성한 도시들, 그리고 조선총독부 철도국과 경성관광협회가 기획한 ‘관광 조선’, ‘관광 경성’의 홍보 콘셉트가 담긴 그림엽서, 관광 안내기, 기념스탬프 등을 분석하여 식민지 도시 표상의 지속성과 탈식민지적 전환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습니다.

책을 펴내며 ∙ 4
서장 ∙ 6

제 1 부 철도와 도시 공간의 재편
제 1 장 철도 니시키에(鐵道錦繪)에서 보는 도시공간 변용과 이미지성에 대하여 ····· 10
제 2 장 철도관광과 조선선 철도역 기념스탬프를 통한 도시 표상 연구 ····· 28

제 2 부 관광의 기획과 도시의 상품화
제 3 장 그림엽서 봉투 도안으로 보는 관광의 상품성과 경성 ····· 48
-1920~30년대 경성 관광 그림엽서를 중심으로-
제 4 장 경성관광협회의 관광문화산업과 관광 지도의 연구68

제 3 부 장소성, 기억, 도시 이미지의 변화
제 5 장 경성의 시대가 만든 사진 그림엽서: 경회루의 서사와 표상 ····· 92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제 6 장 한국 도시 표상의 역사적 변천과 지속 가능성 ····· 116
-이리와 포항을 중심으로-

책을 끝내며 ∙ 138
-철도를 걷는 도시 이미지: 기억, 기록, 그리고 재발견
참고문헌 ∙ 140
저자(글) : 김경리
건국대학교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 및 부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근대 일본의 역사・전쟁・도시・철도 관련 니시키에(다색판화)를 비롯해, 동아시아에서 식민지 경로를 따라 이동한 그림엽서와 기념스탬프를 통해 제국 일본이 구축한 이미지의 네트워크 형성과 정보의 소비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시각 문화, 식민지 미디어 매체, 제국 담론 분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근대의 시각적 정보가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었는지를 사회문화사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역서로는 『황후의 초상』(공저), 『‘조선’, 표상의 문화지』(공역), 『조선을 박람하다 1』(공역), 『재봉틀과 일본의 근대-소비자의 창출』(단독)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인, 근대적 건강을 상상하다』(공저)가 있다. 최근에는 20세기 제국 일본의 그림엽서 문화 담론과 명소, 철도, 홍보 기념스탬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20세기 제국의 흔적, 스탬프의 문화사』는 3년간의 연구가 끝나고 출간 예정이다. 논문으로는 「‘제국 일본’의 이미지 네트워크-시정스탬프를 중심으로-」, 「일본 육군 모의 전쟁이 전시하는 전승의 욕망-육군특별대연습을 중심으로-」, 「러일전쟁에서 ‘봐야 할’ 것을 ‘기억’하는 방법」 등이 있다.
0

0개 리뷰

도서 구매 후 리뷰 작성이 가능합니다.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상품 정보

저자
김경리
출간일
2025-09-30
ISBN
9788971078051
형식/용량
PDF / 11.36MB
카테고리 분류
대학교재 > 인문계열
대학교재 > 건국대

결제정보

  • 총 상품 금액
  • 총 할인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