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뉴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지훈의 문학은 다음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불교의 선적인 것, 유가적인 것, 전통의 고전적 미학을 추구한 것 등이 그것이다.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후기에 자신의 심경을 담백하게 토로한 유고시 〈병에게〉 같은 시이지만 초기 불교의 선 감각을 보여 준 〈고사〉나 〈낙화〉 같은 시도 명편이라고 할 수 있다. 지훈의 문학사적 위치는 현대시의 아버지라고 하는 정지용 시인의 추천으로 1940년 종합문예지 《문장》으로 등단한 다음 일제 말 암울한 낙백의 시기를 보내다가 광복 직후 같은 지면으로 등단한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1946년 합동 시집 《청록집》을 간행하여 광복 전후의 문학사를 잇는 한국 서정시의 정통성을 계승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4·19혁명을 전후한 지훈의 사회적 명성은 〈지조론〉이나 〈의기론〉과 같은 논설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당시로서는 가장 체계적인 《시의 원리》라는 저서도 현대시론의 기틀을 다진 학술적 업적이었으며 현장비평가로서 보여준 월평이나 시론 또한 정연한 문장으로 우리 문단이 지향해야 할 길을 밝혀주었다. 유려한 문장과 정연한 논리가 귀하던 당시 지훈의 문체는 세간을 움직이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0개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