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의 '낙중학') 한주 이진상의 삶과 사상 이미지

(조선말의 '낙중학') 한주 이진상의 삶과 사상

홍원식 계명대학교 출판부
0(0)
  • 정가
    25,000원
  • 판매가
    10% 22,500원
  • me포인트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최대 1,225P 적립

    • 구매 적립 5%
      1,125P
    • 최대 리뷰 적립
      100P
구매 전 반드시 유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iOS 모바일 및 태블릿 / Android 태블릿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Android 모바일은 지원 예정)

조선 중기 낙동강 중류지역에서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과 같은 우뚝한 유현儒賢들이 출현하여 낙중학을 이끌었지만, 조선 후기로 오면서 낙중학은 뚜렷한 유현을 배출하지 못한 채 낙동강 상류지역 중심의 범퇴계학권凡退溪學圈 속으로 편입되어 들어갔다. 그런데 조선말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낙중지역인 성주에서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 출현하면서 낙중학은 다시 부흥하는 계기를 맞게 되었으며, 영남지역은 물론 전국적으로도 유학계의 중심적 위치에 서게 되었다.
이진상은 일찍이 자신의 재실에 ‘조운헌도祖雲憲陶’라 편액하여 ‘운곡雲谷(朱子)를 조술하고 퇴도退陶(李滉)를 헌장하겠다’는 뜻을 세워 ‘심즉리설心卽理說’이나 ‘리발일도설理發一途說’과 같은 독창적 성리설을 제기하였으나, 그것이 이황의 학설과 어긋난다 하여 영남지역에서 일대 파란을 일으켰다. 이것은 곧 낙중과 낙상 영남유학계의 분화를 의미함과 동시에 한주학의 등장과 낙중학의 부흥을 의미한다. 그는 스스로 ‘문자벽文字癖’이 있다고 말했듯이 성리학 관련 저술뿐만 아니라 예학과 역사학, 경세학 등 다방면으로도 관심을 가져 많은 저술을 하였다. 이것은 조선 중기의 낙중 선현인 정구를 떠올리게 하며, 낙중학의 한 특성으로 자리매김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진상에 관한 연구는 금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이뤄져 그에 대한 평전과 연구서가 몇 권 출간된 상황이다. 그가 조선말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였으므로 대부분의 연구가 그의 성리학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성리학 이외의 부분까지 한주학을 주목한 저술은 본 책이 처음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조선말 낙중학의 부흥이라는 관점에서 한주학을 바라보는 것이 본 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저자(글) : 홍원식
홍원식
E-mail : wsh683@kmu.ac.kr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주자학의 거경궁리설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주 이진상의 생애와 사상, 동도관의 변화로 본 한국 근대철학, 조선시대 가문의 탄생 등 30여 권의 저·역서(공저 포함)와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기주
E-mail : zonoz@gw.kmu.ac.kr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臺灣東海大學 哲學硏究所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에 재직하고 있다. 조선성리학과 그 역사적 전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서원으로 남명학파를 보다, 심경부주와 조선유학(공저), 역서에는 심체와 성체 - 총론편, 유교와 칸트(공역) 등이 있고, 「기발리승일도설로 본 기호학파의 3기 발전」, 「이상사회에서의 일과 노동」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형성
E-mail : being9562@naver.com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 책임연구원을 역임하면서 전북대와 전주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한국 철학사 및 성리학이다. 저서로는 한주 이진상의 철학사상, 한국철학사상사(공저), 한국실학사상사(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현상윤의) 조선유학사, (현상윤의) 조선사상사, 범주로 보는 주자학(朱子の哲學)(이상 역서) 등이 있으며, 「한주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추제협
E-mail : jhchoo@gw.kmu.ac.kr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한 뒤 계명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강 정구의 삶과 사상(공저), 여헌 장현광의 삶과 사상(공저) 등이 있고,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과 퇴계학, 성호 이익의 궁리함양공부와 퇴계학, 이익의 사단칠정설과 성호학파의 사상적 분기 등의 논문이 있다.

우인수
E-mail : iswoo@knu.ac.kr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조선후기 정치사를 전공하고 있다. 영남 남인들의 현실인식과 대응에 대한 연구와 조선후기 생활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 조선후기 영남 남인 연구(2015)가 있고, 논문으로는 선비들의 임란 창의정신과 의병활동(2015), 조선 선조대 지산 조호익의 유배생활(2013), 조선후기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과 그 특징(2013) 등이 있다.

박인호
E-mail : inhopark@kumoh.ac.kr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사와 사학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학사대요,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제천지역사연구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21세기 역사학 길잡이, 흥망으로 본 세계의 역사 등이 있다.

전성건
E-mail : haoxue@anu.ac.kr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다산의 예치사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퇴계학파 형성과정과 조선시대 가례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정약용의 철학사상과 체제개혁론(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4)이 있으며, 번역서로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사람의무늬. 2015)이 있으며, 공저로 퇴계학파의 사람들(예문서원. 2017)이 있으며, 다산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유표(다산학 31. 2017) 등의 논문이 있다.

오용원
E-mail : oyw6769@hanmail.net
동국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기획조정실에 재직하고 있다. 조선후기 한시와 일기류 자료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0

0개 리뷰

도서 구매 후 리뷰 작성이 가능합니다.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상품 정보

저자
홍원식
출간일
2022-12-20
ISBN
9791165160111
형식/용량
PDF / 14.61MB
카테고리 분류
대학교재 > 인문계열
대학교재 > 계명대

결제정보

  • 총 상품 금액
  • 총 할인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