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와 실크로드 이미지

신라와 실크로드

계명대학교 실크로드 중앙아시아연구원 계명대학교 출판부
0(0)
  • 정가
    17,000원
  • 판매가
    10% 15,300원
  • me포인트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최대 865P 적립

    • 구매 적립 5%
      765P
    • 최대 리뷰 적립
      100P
구매 전 반드시 유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iOS 모바일 및 태블릿 / Android 태블릿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Android 모바일은 지원 예정)

이 책은 모두 10개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제목이 “신라와 실크로드”이다. 제목이 너무 일반적이라 대수롭지 않게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 ‘일반적’이라는 사실이 이 책의 특별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전문 학술서적이라기보다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교양서적이기 때문이다. 아득히 먼 미지의 세계에 대한 상상력의 확대 수준이었던 실크로드 연구가 최근 20년 사이에 현실 세계로 옮겨오기 시작했다. 그 연구 성과는 가히 폭발적이었다. 기본적으로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과 그리스·로마 문화권 사이의 교섭을 가능케 한 길이라는 인식의 틀 속에서였다. 그러면서 이 길의 서쪽 경계는 인도에서 시리아로, 그리고 다시 시리아에서 로마까지 확장되는가 하면, 동쪽으로는 중국의 장안(長安)에서 한국의 경주, 심지어 일본의 나라(奈良)까지 확장되고 있다.

그런 뜻에서 실크로드를 한반도의 역사와 연계시켜 파악하려는 시도는 자연스럽다. 특히 고구려와 신라의 고대사는 세계사의 맥락에서 읽혀야 한다는 입장이고, 한반도의 문명이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으로부터 엄청난 영향을 받았음을 증명해 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가 알던 세계사와 한국사에 대해 새로운 지평을 넓혀주는 내용이다. 그렇게 되면 실크로드가 ‘동서 문명의 가교’였다는 식의 막연한 이해 수준을 넘어서게 된다. 같은 맥락에서, 신라는 더 이상 실크로드의 ‘경유지’였던 것만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종착지’가 될 수도 없다. 동서의 정치, 문화, 경제적인 요소들을 만나고, 변용과 재창조를 거쳐, 그것을 다시 주변의 다른 지역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했던 공간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신라는 스스로가 하나의 역동적인 역사 세계였으며, 신라가 있었기에 실크로드가 가능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글) : 계명대학교 실크로드 중앙아시아연구원
실크로드와 중앙아시아는 그냥 동서를 잇는 통로가 아니었습니다. 그곳은 찬란한 문명이 꽃핀 곳이었고 유럽 르네상스를 실질적으로 싹틔운 공간이었습니다. 그곳은 서로 다른 문명이 만나고 교류하던 곳이었고, 그 과정에서 변용되고 가공되며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진 곳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른 문명권의 오해를 받기도 하고 의도적인 왜곡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계명대학교 실크로드 중앙아시아연구원〉은 이 공간을 제대로 연구하고 밝히기 위해 대장정에 나섭니다. 그들의 역사적 현장성, 일상적 삶의 구체적인 양상들, 그리고 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오랜 종교적 양태가 우리의 주된 연구 대상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역사와 함께 얽힌 거대한 문명벨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며, ‘문명 충돌’의 위험을 ‘문명 공존’의 길로 안내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0

0개 리뷰

도서 구매 후 리뷰 작성이 가능합니다.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상품 정보

저자
계명대학교 실크로드 중앙아시아연구원
출간일
2021-11-30
ISBN
9791165161170
형식/용량
PDF / 116.58MB
카테고리 분류
대학교재 > 인문계열
대학교재 > 계명대

결제정보

  • 총 상품 금액
  • 총 할인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