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즘 이미지

아나키즘

Robert Paul Wolff 지음 / 김동일 옮김 경상국립대학교 출판부
0(0)
  • 정가
    10,000원
  • 판매가
    10% 9,000원
  • me포인트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적립액입니다.
    최종 결제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적립 포인트는 결제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최대 550P 적립

    • 구매 적립 5%
      450P
    • 최대 리뷰 적립
      100P
구매 전 반드시 유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iOS / Android 모바일 및 태블릿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글은 정치철학이 아나키즘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이 글은 아나키즘을 옹호하거나 주장하지는 않는다. 아나키즘의 이론적 타당성이나 실현 가능성을 자세히 다루지도 않는다. 그러나 아나키즘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정치철학이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나키즘을 정치철학의 유일한 출발점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이론을 배제하거나 부인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유력한 출발점으로서 제시하는 것이다) 그 근거로서 이 글은 다섯 가지 이유를 제시하는데, 그전에 주제 중심으로 정치철학 하기의 필요성을 조금 더 설명하고, 아나키즘에 대한 일반적 오해의 해소를 시도한 뒤, 이 글이 정치철학의 출발점으로서 제시하는 아나키즘을 정의한다.

이 글이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주장하는 글은 아니지만, 정치철학의 출발점으로서 이 글이 제시하는 아나키즘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성은 있다. 아나키즘이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의하고, 다양한 아나키즘이 있으나 이 글이 제시하는 아나키즘이 공유하는 원칙을 내용으로 간략히 정리하면 충분할 것이다.

아나키즘이란 정치이론의 하나라는 설명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엄밀히 말해 정확한 정의가 아니다. 왜냐하면 권력과 권위가 있는 국가가 없으면 정치라고 보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아나키즘은 바로 그 권력과 그 권위를 부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권력과 권위의 문제를 다룬다는 의미에서 정치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권력과 권위라는 존재 자체의 정당성을 비판하는 아나키즘은 권력과 권위에 대한 이론으로서 정치이론이라고 보기 어렵다.

아나키즘은 정확히 말해 하나의 사회철학이다. 사회 안에 서 인간이 서로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철학이다. 이러한 문제는 정치이론으로 다 룰 수도 있지만, 정치 없이 운영되는 사회를 주장하는 사회철학으로 다룰 수도 있다. 아나키즘은 바로 권력과 권위를 핵심으로 하는 정치 없이 인간 사회를 운영해야 하고 할 수 있다는 철학이다. 아나키즘이 정치이론이 아니라 사회철학이라면 ‘어떻게 정치철학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가?’라고 물을 수 있다. 권력과 권위의 정치 자체를 부정하는 아나키즘은 정치에 대한 철학 의 출발점으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정치에 대한 이론은 정치의 내용을 다루지만, 정치에 대한 철학은 정치의 내용뿐만 아니라 정치 자체의 의미와 목적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성찰한다. 특히, 권력의 정치 자체의 비도덕성을 지적하는 아나키즘은 정치의 목적과 의미 등에 대해서 다른 어떤 이론보다 더 진지하게 성찰할 것을 주문한다. 심지어 권력과 권위의 정치가 없어야 인간의 자율성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는 점을 심각하게 검토할 것을 요구한다.

저자(글) : Robert Paul Wolff 지음 / 김동일 옮김
Robert Paul Wolff
사회학자. 출간작으로 『아나키즘』 등이 있다.

김동일(역자)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인 김동일은 성균관대학교, 런던 정경대, 셰필드 대학교를 거쳐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치학 강독, 삶의 정치철학, 이데올로기의 이해, 그리고 현대 사회와 정의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정의로운 분배를 위한 포괄적 원칙」, 「Liberty, Right, and Duty: Their Conceptual Relationship」, 「Right, Equality, and the Fairness Obligation」,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Gap between Parental Justice and Non-parental Obligation」, 「정치철학의 정치철학적 이해와 교육」, 「시민 의무의 정치철학적 기초」, 「행복한 민주시민의 지성과 덕성」, 「국가의 규범적 이해를 위한 분석의 틀」, 「Can We Make a Democratic Decision by Voting?」, 「고전 유교 분배 정의관의 특징과 의미」 등을 국내외 저널에 출판했고, 단행본으로는 『삶의 정치철학』을 박영사에서 출판했다.

현재 인간의 본능, 본성, 그리고 본질의 관점에서 정치의 메타적 역할, 그리고 아나키즘과 평화의 관계 등에 대해서 고민 중이다.
0

0개 리뷰

도서 구매 후 리뷰 작성이 가능합니다.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상품 정보

저자
Robert Paul Wolff 지음 / 김동일 옮김
출간일
2024-03-04
ISBN
9788962573848
형식/용량
PDF / 3.29MB
카테고리 분류
대학교재 > 사회/정치/행정계열
대학교재 > 경상국립대

결제정보

  • 총 상품 금액
  • 총 할인금액